
Eunsoo Hur
허은수


Composer
Pianist
Music Theorist
Producer
Educator
1995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녀는 다섯 살에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며 음악에 입문하였습니다. 8살부터 12살까지 대한민국 국립오페라단에서 솔리스트 및 합창단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무대를 경험하였으며, 루마니아 국립오페라단 합창단과 협업하여 카르멘을 비롯한 여러 오페라 작품에 출연하였습니다. 또한 토스카, 투란도트, 유즈루, 보체크, 마술피리, 카르멘, 라보엠 등의 작품을 서울과 전국 각지에서 공연하며 무대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 외에도 서울대학교 오케스트라와 함께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8번을 연주하였으며, 상하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습니다.
2011년부터 김지환 교수에게 지휘를 배우고, 강준일 교수에게 음악 이론과 작곡을 사사하며 음악적 기초를 더욱 탄탄히 다졌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독일로 유학하여 음악학, 철학, 지휘를 공부하며 음악을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탐구하였습니다. 이후 Prof. Heide Andreas 에게 음악이론을 배우는 것을 기점으로 피아노, 실내악, 음악 교육을 전공하며 전문 연주자 과정, 예술적 성숙(KA) 및 교육학(KE) Diplom을 취득하였습니다.
브람스의 고장인 함부르크에서 브람스 콘서트를 매년 기획자 및 연주자로 활동하였고 음악원에서 강사로 역임하였습니다.
그녀는 음악가로서뿐만 아니라 기획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에서 다양한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습니다. 클래식 콘서트뿐만 아니라 여러 예술 장르를 융합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였으며, 한국과 유럽을 잇는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습니다. 또한, 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국과 유럽의 예술가들이 협업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있습니다.
졸업 후에는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주하여 빈 국립음대에서 Prof. Gerald Resch에게 작곡과 음악 이론을 배우며 학문적 깊이를 더하였습니다. 현재는 Prof. Frauke Jürgensen, Prof. Annegret Huber에게 음악 이론과 분석을, Prof. Judit Varga에게 미디어 작곡을 배우며 예술적 역량을 더욱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오스트리아와 한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compositions
-
2020 Zukünftige Stadt for String Quartett (5')
-
2021 "At The Bamboo Forest" for Orchestra (15')
-
2022 Electronic Music "old factory"
-
2022 Electronic Music "Spielwarengeschäft"
-
2023 Song of Frost for Mezzosoprano (3')
-
2023 Electronic Music "Ein ehemaliger Bergmann in Zollverein"
-
2023 Electronic Music "Dememtia"
-
2023/24 <Wonderland Garden> Closed bud- a Little thief Tree - descending fraction for Piano Solo (12')
-
2023 Electronic Music "Filament"
-
2024 It's raining for Violin and Piano (10')
-
2024 Electronic Music "Maze of Auditory Existence" (4'19")
-
2024 "Hustle Cycle" for Soprano, Alto, and Tenor Saxophones (8') -
-
2024 Media Music "Autumn, and.." (1'30")
-
2024 Electronic Music "One Day, Seoul" (6'10")
-
2024 Theatre Music (5월 초연예정/ 빈)
-
2025 Big band (3월 초연예정/빈)
Theoretical analysis
-
모리스 라벨의 ≪Gaspard de la Nuit≫: 초현실적 환상시의 음악적 재해석과 구성적 기법 연구
-
드뷔시의 ≪La Cathédrale Engloutie≫에 나타난 음악적 모티프와 화성적 구조
-
프란츠 슈베르트의 「Der Tod und das Mädchen」에 나타난 음악적 형상화와 클라우디우스의 죽음관
-
프랑크 마르틴의 ≪Messe für Doppelchor≫: 현대 음악언어와 해석적 접근
-
Beethovens Waldstein-Sonate Op. 53의 구조적 변증법과 조성의 발전
-
Beethoven - Bagatelle WoO.60에 나타난 조성 불확정성과 구조적 변증법
-
Milton Babbitt의 All Set에서 리듬적 자유와 Serialism의 상호작용
-
체 이론의 음향적 가능성: Iannis Xenakis의 Metastaseis에서의 수학적 구조와 음악적 패턴
-
E.T.A. 호프만의 샌드맨에서 진은숙의 마네킹까지
Memberschip
-
영국 음악 분석 협회 (SMA) 회원
-
독일어권 음악 이론학회 (GMTH) 회원
-
크레아 아트 대표 아티스트
-
오스트리아 작곡가 협회 회원 및 오스트리아 작곡가 등록